오늘은 구조물의 부정정 차수를 구하는 공식과, 그것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각 지점의 반력은 위와 같습니다.
고정지점은 반력이 3개(상하, 좌우, 회전 불가),
회전 지점은 2개(상하, 좌우 이동 불가)
이동 지점은 1개(상하 이동 불가) 입니다.
부재의 수는 해당 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부재, 도식 상에서는 '선'의 수를 세어주시면 됩니다.
강절점 수가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시는 개념인데요, 먼저 회전지점이 아닌 강절점의 수를 세어주신 다음,
각 강절점에서 1개의 부재를 골라주시고, 그 부재와 만나는 부재들의 수를 세어서 모두 합해주시면 됩니다.
위 그림의 경우 강절점이 2개 있고, 각 강절점마다 1개를 지정해서 그 부재가 만나는 부재를 셌을 때 2라는 숫자가 나오죠.
만약 위 그림에서처럼 가운데가 회전절점인데, 윗부분까지 힌지로 연결된 게 아니라 직선이라면 이 경우 윗부분은 강절점으로 따져줘야 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절점은 지점을 포함해 각 부재들이 만나는 부분들, 그림 상에서는 '점'의 갯수를 따져주시면 되겠습니다.
예시로 보여준 그림에서는 답, 즉 n이 3으로 나오게 되는데, 결국 해당 구조물은 3(=n)차 부정정이 됩니다.
만약 답이 0이라면 정정 구조물, 음수라면 불안정 구조물로 평가하시면 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단층 구조물의 부정정 차수를 구하는 공식을 업로드하겠습니다.
#공스타그램 #공부스타그램 #건축기사 #건축구조 #구조역학 #구조해석 #구조설계 #건축학과 #건축공학과 #구조물의개론 #구조물 #부정정차수 #구조물의부정정차수 #반력 #강절점수
'건축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러스 부정정 차수 구하기 [건축구조 구조역학 핵심 공식] (0) | 2023.12.11 |
---|---|
단층 구조물 부정정 차수 구하기 [건축구조 핵심 공식] (0) | 2023.12.10 |
라미의 정리 (Lami's theorem) [건축구조 핵심 공식] (0) | 2023.12.08 |
사인 법칙 (sin 법칙) 변의 길이와 마주보는 각에 대한 삼각함수의 비율 [건축구조 핵심 공식] (0) | 2023.12.07 |
방향이 다른 힘의 합성, 합력 구하기 [건축구조 핵심 공식] (0) | 2023.12.05 |